오늘의금리
페이지 정보
본문
[오늘의 키워드] 한은 기준금리 내렸는데 시장금리 급등한 이유
■ 경제와이드 모닝벨 '김박사의 오늘의 키워드' - 진행 : 장연재 / 출연 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◇ 시장금리의 반란
- 한은 기준금리↓…시장금리 급등, 왜?
- 기준금리 내렸는데 시장금리 올라갔다
- 외국인들 국채 매도 공세…‘구축효과’?
- 외국인 국채선물 ‘폭풍 매도’…채권 금리↑ 전망
- ‘역대최저’ 기준금리에도…은행의 ‘역주행’?
(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.)
◇모닝벨 (월~금 오전 6시~8시)
◇출연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모닝벨 페이지 바로가기 : https://goo.gl/sSLCA5
[오늘의 키워드]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금리 올라…원인은 코픽스?
■ 경제와이드 모닝벨 '김박사의 오늘의 키워드' - 진행 : 장연재 / 출연 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◇ 코픽스의 반란
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,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습니다. 기준금리를 내렸으면 대출금리나 예금금리 모두 내려야하는 거 같은데, 지금 대출금리가 오르는 이유가 코픽스 때문이라고 하던데요?
- 기준·대출금리 엇박자 이유는?
-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 금리 꾸준히 오름세
- 금융채 5년물 금리↑…주담대 금리↑
- 채권금리 오르자 대출금리 상승
- 은행권 자금조달지표 반영에 시차 발생
- 시장금리 상승에 은행 조달비용 증가
(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.)
◇모닝벨 (월~금 오전 6시~8시)
◇출연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모닝벨 페이지 바로가기 : https://goo.gl/sSLCA5
'딜레마' 된 금리...오늘 한은의 선택은? / YTN
[앵커]
한국은행이 오늘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
올해 들어 각종 경제 지표가 크게 악화한 만큼, 일단 동결 전망이 우세한 분위기인데요,
미국과의 금리 차이 등을 고려해 전격적으로 인상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습니다.
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
[기자]
미국과 기준금리가 역전된 뒤 갈수록 차이가 커지는 가운데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!
돈이 자연스럽게 금리가 높은 곳으로 쏠리는 외화 유출 가능성에, 금융 시장과 부동산 시장 불안까지 겹치며, 기준 금리 인상 시점을 더는 늦춰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입니다.
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.
무엇보다 올해 들어 경제 성장률과 고용 등 각종 경제 지표가 크게 악화한 만큼, 자칫 금리 인상이 경기에 타격을 줄 수 있게 때문입니다.
여기에 1,500조 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는 물론,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같은 대외적인 악재까지 있어,
한국은행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입니다.
[박형중 / 대신증권 이코노미스트 : 기준 금리 인상을 통해 한국은행이나 정부가 계획한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경기 악화는 피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.]
일단 시장 참여자들은 동결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를 싣는 분위기입니다.
다만 동결을 전망하는 목소리 자체는 한 달 전보다 작아진 상태입니다.
증권사 역시 이번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보는 곳이 많습니다.
이번 달이 아닌 올해 마지막 금통위인 다음 달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
이어 오늘 오후에 발표하는 경제전망에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7월에 이어 다시 한 번 0.1%포인트가량 낮출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
이 경우 한국은행의 전망치는 연초 3%에서 2.8%로 떨어지게 됩니다.
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
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0180031067428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
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■ 경제와이드 모닝벨 '김박사의 오늘의 키워드' - 진행 : 장연재 / 출연 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◇ 시장금리의 반란
- 한은 기준금리↓…시장금리 급등, 왜?
- 기준금리 내렸는데 시장금리 올라갔다
- 외국인들 국채 매도 공세…‘구축효과’?
- 외국인 국채선물 ‘폭풍 매도’…채권 금리↑ 전망
- ‘역대최저’ 기준금리에도…은행의 ‘역주행’?
(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.)
◇모닝벨 (월~금 오전 6시~8시)
◇출연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모닝벨 페이지 바로가기 : https://goo.gl/sSLCA5
[오늘의 키워드]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금리 올라…원인은 코픽스?
■ 경제와이드 모닝벨 '김박사의 오늘의 키워드' - 진행 : 장연재 / 출연 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◇ 코픽스의 반란
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,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습니다. 기준금리를 내렸으면 대출금리나 예금금리 모두 내려야하는 거 같은데, 지금 대출금리가 오르는 이유가 코픽스 때문이라고 하던데요?
- 기준·대출금리 엇박자 이유는?
-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 금리 꾸준히 오름세
- 금융채 5년물 금리↑…주담대 금리↑
- 채권금리 오르자 대출금리 상승
- 은행권 자금조달지표 반영에 시차 발생
- 시장금리 상승에 은행 조달비용 증가
(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.)
◇모닝벨 (월~금 오전 6시~8시)
◇출연: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·경제학 박사
모닝벨 페이지 바로가기 : https://goo.gl/sSLCA5
'딜레마' 된 금리...오늘 한은의 선택은? / YTN
[앵커]
한국은행이 오늘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
올해 들어 각종 경제 지표가 크게 악화한 만큼, 일단 동결 전망이 우세한 분위기인데요,
미국과의 금리 차이 등을 고려해 전격적으로 인상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습니다.
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
[기자]
미국과 기준금리가 역전된 뒤 갈수록 차이가 커지는 가운데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!
돈이 자연스럽게 금리가 높은 곳으로 쏠리는 외화 유출 가능성에, 금융 시장과 부동산 시장 불안까지 겹치며, 기준 금리 인상 시점을 더는 늦춰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입니다.
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.
무엇보다 올해 들어 경제 성장률과 고용 등 각종 경제 지표가 크게 악화한 만큼, 자칫 금리 인상이 경기에 타격을 줄 수 있게 때문입니다.
여기에 1,500조 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는 물론,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같은 대외적인 악재까지 있어,
한국은행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입니다.
[박형중 / 대신증권 이코노미스트 : 기준 금리 인상을 통해 한국은행이나 정부가 계획한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경기 악화는 피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.]
일단 시장 참여자들은 동결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를 싣는 분위기입니다.
다만 동결을 전망하는 목소리 자체는 한 달 전보다 작아진 상태입니다.
증권사 역시 이번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보는 곳이 많습니다.
이번 달이 아닌 올해 마지막 금통위인 다음 달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
이어 오늘 오후에 발표하는 경제전망에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7월에 이어 다시 한 번 0.1%포인트가량 낮출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
이 경우 한국은행의 전망치는 연초 3%에서 2.8%로 떨어지게 됩니다.
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
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0180031067428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
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